| 문제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있을 때, 크기가 양수인 부분수열 중에서 그 수열의 원소를 다 더한 값이 S가 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N과 정수 S가 주어진다. (1 ≤ N ≤ 20, |S| ≤ 1,000,000)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의 절댓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
| 출력
첫째 줄에 합이 S가 되는 부분수열의 개수를 출력한다.
정답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subarrsum(self):
n, s = map(int, input().split())
arr = list(map(int, input().split()))
cnt = 0
a = []
def backtracking(idx, res):
nonlocal cnt
if res == s:
cnt += 1
for i in range(idx+1, n):
backtracking(i, res + arr[i])
for i in range(n):
backtracking(i, arr[i])
print(cnt)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subarrsum()
| 비고
연속된 부분 수열을 뜻하는 것이 아님. 예를 들어 { -7, -3, -2, 5, 10 } 이라는 집합이 있으면 { -7, -3, 10 } 도 S=0인 부분 수열임. 부분 집합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따라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야하고, 백트래킹 사고로 풀면 빠르게 풀린다.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Gold4/2295] 세 수의 합 (0) | 2025.02.08 |
---|---|
[Python/Gold4/9663] N-Queen (0) | 2025.02.07 |
[Python/Gold5/2225] 합분해 (0) | 2025.02.06 |
[Python/Gold4/2293] 동전 1 (0) | 2025.02.05 |
[Python/Silver4/1920] 수 찾기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