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 모든 정수의 범위는 -231 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
| 출력
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 존재하면 1을,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정답 코드
import sys, bisect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find_number(self):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A.sort()
for k in arr:
lo, hi = 0, N-1
find = False
while lo <= hi:
mid = lo + (hi-lo) // 2
if A[mid] < k:
lo = mid + 1
elif A[mid] > k:
hi = mid - 1
else:
find = True
break
if find:
print(1)
else:
print(0)
def find_num(self):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A.sort()
for k in arr:
idx = bisect.bisect_left(A,k)
if idx >= N:
print(0)
continue
if A[idx] == k:
print(1)
else:
print(0)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find_num()
| 비고
처음 작성했던 코드는 큐를 활용했다. 이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M)이 되는데, if a in A는 리스트에서 선형 탐색을 하기 때문에 O(N)이 걸리고, 이를 M번 반복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서 N과 M은 둘 다 100,000까지 이므로 10 ^ 10 번 즉 연산 1억번을 넘어가기 때문에 시간 초과가 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이분탐색(bisect) 혹은 set() 함수를 활용해서 풀면 된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find_number(self):
N = int(input())
A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arr = deque(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M):
a = arr.popleft()
if a in A:
print(1)
else:
print(0)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find_number()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Gold5/2225] 합분해 (0) | 2025.02.06 |
---|---|
[Python/Gold4/2293] 동전 1 (0) | 2025.02.05 |
[Python/Silver2/11053]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1) | 2025.02.04 |
[Python/Silver3/9461] 파도반 수열 (0) | 2025.02.04 |
[Python/Silver2/1012] 유기농 배추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