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정답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dfs_bfs(self):
n,m,v = map(int, input().split())
graph = defaultdict(list)
for _ in range(m):
a,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graph[b].append(a)
d = []
visited = [False] * (n+1)
def dfs(node):
if visited[node]:
return
d.append(node)
visited[node] = True
for v in sorted(graph[node]):
if not visited[v]:
dfs(v)
b = []
def bfs(node):
Q = deque()
Q.append(node)
visits = [False]*(n+1)
visits[node] = True
while Q:
v = Q.popleft()
b.append(v)
for nv in sorted(graph[v]):
if not visits[nv]:
Q.append(nv)
visits[nv] = True
dfs(v)
bfs(v)
print(*d)
print(*b)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dfs_bfs()
| 비고
없음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Silver1/1149] RGB 거리 (0) | 2025.01.31 |
---|---|
[Python/Silver1/2667] 단지번호붙이기 (0) | 2025.01.31 |
[Python/Silver1/1932] 정수 삼각형 (0) | 2025.01.31 |
[Python/Silver3/11726] 2xn 타일링 (0) | 2025.01.31 |
[Python/Silver3/2579] 계단 오르기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