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Gold4/1967] 트리의 지름

2025. 2. 9. 17:04·BAEKJOON

|    문제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 트리에서는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쫙 당길 때,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런 두 노드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트리의 지름이라고 한다. 정확히 정의하자면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들 중에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말한다.

입력으로 루트가 있는 트리를 가중치가 있는 간선들로 줄 때, 트리의 지름을 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아래와 같은 트리가 주어진다면 트리의 지름은 45가 된다.

트리의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    입력

파일의 첫 번째 줄은 노드의 개수 n(1 ≤ n ≤ 10,000)이다. 둘째 줄부터 n-1개의 줄에 각 간선에 대한 정보가 들어온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세 개의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정수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노드 중 부모 노드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 번째 정수는 자식 노드를, 세 번째 정수는 간선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간선에 대한 정보는 부모 노드의 번호가 작은 것이 먼저 입력되고, 부모 노드의 번호가 같으면 자식 노드의 번호가 작은 것이 먼저 입력된다. 루트 노드의 번호는 항상 1이라고 가정하며, 간선의 가중치는 100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이다.

|    출력

첫째 줄에 트리의 지름을 출력한다.

 

 


정답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tree_radius(self):
        n = int(input())
        tree = defaultdict(list)
        for _ in range(n-1):
            x, y, w = map(int, input().split())
            tree[x].append((y,w))
            tree[y].append((x,w))

        def bfs(node):
            Q = deque()
            Q.append((node, 0))
            visited = [False] * (n+1)
            max_value = (0,node)
            while Q:
                v, w = Q.popleft()
                max_value = max(max_value, (w, v))
                for (dv, dw) in tree[v]:
                    if not visited[dv]:
                        Q.append((dv, w + dw))
                        visited[dv] = True
            return max_value

        _, first_node = bfs(1)
        res, _ = bfs(first_node)
        print(res)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tree_radius()

 

 

|    비고

트리의 지름(노드 사이의 최대 거리) 구하는 방법은 1. 임의의 노드(1번)에서 가장 먼 노드를 구한 다음, 2. 1번에서 구한 노드에서 가장 먼 노드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Gold2/1655] 가운데를 말해요  (0) 2025.02.12
[Python/Gold2/1167] 트리의 지름  (0) 2025.02.09
[Python/Gold5/1240] 노드사이의 거리  (0) 2025.02.09
[Python/Gold4/7662] 이중 우선순위 큐  (0) 2025.02.08
[Python/Gold4/2295] 세 수의 합  (0) 2025.02.08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Gold2/1655] 가운데를 말해요
  • [Python/Gold2/1167] 트리의 지름
  • [Python/Gold5/1240] 노드사이의 거리
  • [Python/Gold4/7662] 이중 우선순위 큐
콘순이
콘순이
개발 보안 관련 스터디 기록장
SECURITY DEVELOPER개발 보안 관련 스터디 기록장
  • 콘순이
    SECURITY DEVELOPER
    콘순이
  • 글쓰기 관리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1)
      • BAEKJOON (45)
      • ALGORITHM (4)
      • QUALIFICATIONS (0)
      • PYTHON (1)
      • PROGRAMMERS (6)
      • DEVELOP (12)
        • SPRING (4)
        • ERROR (0)
        • CONCEPT (5)
        • AWS (3)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solid
    문자열
    알고리즘
    Python
    비트 마스킹
    비트 조작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콘순이
[Python/Gold4/1967] 트리의 지름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