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 이때,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
예를 들어, 2234와 3678,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 2232, 3676,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
수의 길이 N이 주어졌을 때, 오르막 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
|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0)이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길이가 N인 오르막 수의 개수를 10,007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정답 코드 (2차원 배열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ascend_number(self):
n = int(input())
dp = [[1]*10 for _ in range(n+1)]
for x in range(2, n+1):
for i in range(1,10):
dp[x][i] = dp[x-1][i] + dp[x][i-1]
print(sum(dp[n]) % 10_007)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ascend_number()
정답 코드 (1차원 배열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olution:
def ascend_number(self):
n = int(input())
dp = [1]*10
for x in range(n-1):
for j in range(1, 10):
dp[j] += dp[j-1]
print(sum(dp[n])%10_007)
if __name__ == "__main__":
s = Solution()
s.ascend_number()
| 비고
대각선 합의 공식을 활용하여 푸는 문제. 예제에서 1일 때는 10, 2일 때는 55, 3일 때 220을 출력하는 것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더 자세한 풀이는 아래 velog를 참고하면 된다.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Silver3/15649] N과 M (1) (0) | 2025.02.03 |
---|---|
[Python/Silver1/1309] 동물원 (0) | 2025.02.03 |
[Python/Silver3/1904] 01타일 (0) | 2025.02.02 |
[Python/Silver1/1697] 숨바꼭질 (0) | 2025.02.02 |
[Python/Silver1/1149] RGB 거리 (0) | 2025.01.31 |